본문 바로가기

비전과 연혁

설립목적

국내외 한국문학 관련 자료의 수집, 보존, 복원, 관리, 전시, 연구, 교육, 연수, 기타 활용을 통하여
문학 유산의 계승과 문학 활동의 진흥 및 발전을 도모하고 문학인을 포함한 모든 국민의 문학 창작과 향유를 증진시키고자 함

비전Vision

국립한국문학관은 한국문학의 살아 있는 역사이자 역동하는 미래

미션Mission

문학의 가치를 발견하고 체험하며 확장하는 대표 문학 기관

핵심가치Core Value

  • 문학유산의 보존과 활용
  • 문학유산의 생산과 교류
  • 문학적 삶의 공유와 연대

주요사업

  • 한국문학 자료의 수집‧보존‧복원‧관리‧전시 및 활용
  • 지역 문학 자산의 발굴‧보존 및 지역문학관 지원‧협력사업
  • 한국문학 자료에 대한 조사‧연구
  • 한국문학의 연구‧복원‧정립을 위한 남북 및 국제 교류‧협력
  • 한국문학 자료의 수집 및 운영과 관련된 국내외 교류‧협력
  • 문학의 대중화를 위한 출판‧홍보‧교육 및 각종 부대시설의 설치‧운영
  • 문학 창작, 매개, 향수와 관련된 사업이나 활동
  • 온라인문학관 설치‧운영, 모바일 앱 운영
  • 문학 진흥을 위한 정책연구‧개발 및 교육‧연수 사업이나 활동
  • 그밖에 문학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업

연혁

국립한국문학관은 ‘살아있는 역사, 역동하는 미래’를 기본 정신으로
한국문학 진흥을 위해 애쓰겠습니다.
한국문학 자료의 수집, 보존, 발굴과 체계적인 아카이빙을 통해
한국문학의 가치를 드높이는데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

  • 2027

    • 예정

      국립한국문학관 개관(예정)

  • 2026

    • 12월

      국립한국문학관 완공(예정)

  • 2025

    • 8월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 연계전시 《꿈으로 지은 집》

    • 7월

      2025 한국문학포럼 정례화

    • 6월

      한국문학번역원 업무협약 체결

      주요 소장 자료 해제 온라인 공개

    • 4월

      지역문학관 협력 사업 착수

      지역문학관 활성화 및 협력지원사업 첫 공모

  • 2024

    • 12월

      “미래유산으로서의 한국문학” 학술대회 개최

    • 11월

      조연현 평론가 유족, 자료 기증(2차)

    • 9월

      소장 희귀 자료 특별전 《한국문학의 맥박脈搏》

    • 5월

      국립한국문학관 건립 착공식

    • 3월

      국립중앙도서관 협력전 《문학의 봄·봄》

  • 2023

    • 12월

      조연현 평론가 유족, 자료 기증(1차)

    • 10월

      고(故) 오무라 마스오 교수 소장 자료 기증 (1만 5천여 점)

    • 8월

      은평역사한옥박물관 협력전 《삼국의 여인들, 새로운 세계를 열다》

    • 2월

      국립한국문학관 MI 공개

  • 2022

    • 12월

      청와대 개방 특별전 《이상, 염상섭, 현진건, 윤동주, 청와대를 거닐다》

    • 10월

      제2대 문정희 관장 취임

  • 2021

    • 6월

      국립한국문학관 건립 국제 설계 공모 당선작 발표

  • 2020

    • 6월

      국립세종도서관 내 임시수장고 설치·운영

  • 2019

    • 4월

      국립한국문학관 법인 설립 (초대 관장 염무웅)

    • 3월

      고(故) 김윤식 선생 유족 기부 (30억 원)

  • 2018

    • 10월

      건립 부지 선정 (은평구 진관동 175)

    • 8월

      고(故) 하동호 교수 유족 자료 기증 (55,000여 점)

    • 5월

      설립추진위원회 출범

  • 2016

    • 2월

      문학진흥법 제정

Museum Identity

국립한국문학관
MI(Museum Identity)

국립한국문학관은 한국문학을 아우르는 우리나라 대표 문학관입니다.
MI는 문학의 초성인 ‘ㅁ’을 기반으로 간결하게 표현하면서 국립한국문학관의 역할과 가치를 전달합니다.
MI의 기본이 되는 사각형은 한국문학을 세우고 누리는 ‘땅’을 의미함과 동시에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열고 놀라운 미래를 바라보는 ‘창’을 의미합니다.
사각형을 분할하면서 역동적인 형태로 변화시켜 무한히 역동하는 문학의 시간과 콘텐츠를 담아내며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는 문학의 ‘플랫폼’을 전달합니다.

심벌마크

심벌마크는 국립한국문학관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상징체로서 임의로 형태나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국립한국문학관 MI 사용을 원하시는 경우, 국립한국문학관 기획운영부(02-6203-4060, 4071)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MI(Museum Identity) 내려받기

  • 심벌마크 이미지

    최소사용규정

    심벌마크 사용시 가독을 고려하여 세로 7mm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심벌마크 가독성 고려 이미지

  • 심벌마크 공간규정 이미지

    공간규정

    해당 공간 내 다른 요소가 침범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로고타입

로고타입은 심벌마크와 어울리도록 특별히 디자인된 문자이므로 임의로 글꼴이나 자간에 변형할 수 없습니다.

  • 국문 로고
  • 한문 로고
  • 영문 로고

전용색상

국립한국문학관 MI의 메인컬러는 블랙으로 동양의 전통적 기록 재료였던 ‘먹’의 컬러로써 한국문학의 근원을 상징하며
무한한 우주의 컬러이자 모든 컬러의 합으로써 문학의 무한성과 모든 한국문학을 아우르는 대표성을 상징합니다.

Main Color

NMKL Black

  • PANTONE Black C
  • CMYK K 100
  • RGB R29 G29 B27

Sub Color

Emerald Green

  • PANTONE 2397 C
  • CMYK C 80 Y 30
  • RGB R0 G163 B180

Combination Color

Dark Blue

  • PANTONE 280 C
  • CMYK C 100 M 85 Y 10 K 30
  • RGB R27 G46 B106

Orange

  • PANTONE 152 C
  • CMYK M 70 y 100
  • RGB R236 G102 B8

Purple

  • PANTONE 2613 C
  • CMYK C 75 M 100
  • RGB R102 G369 B131

Ocher

  • PANTONE 1255 C
  • CMYK C 25 M 45 Y 75 K 10
  • RGB R187 G137 B75

Green

  • PANTONE 368 C
  • CMYK C 60 Y 100
  • RGB R118 G184 B42

Pink

  • PANTONE Magenta C
  • CMYK M 100
  • RGB R230 G0 B126

Metalic Color

Silver

  • PANTONE 877 C

Gold

  • PANTONE 872 C

색상활용

모든 경우에 메인 컬러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매체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본 적용지침에 제시된 색상활용 중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 Main Color

    메인컬러 색상활용 MI

  • 메인컬러 색상활용 MI 배경검정버전

  • Sub Color

    서브컬러 색상활용 MI

Combination Color

  • Dark Blue 색상활용 MI

  • Orange 색상활용 MI

  • Purple 색상활용 MI

  • Ocher 색상활용 MI

  • Green 색상활용 MI

  • Pink 색상활용 MI

  • A Type

    A Type 색상활용 MI

  • B Type

    B Type 색상활용 MI

시그니처 조합

상하 조합

  • 시그니처 상하조합 국문

  • 시그니처 상하조합 영문 풀명칭

  • 시그니처 상하조합 한문

  • 시그니처 상하조합 국영문

  • 시그니처 상하조합 한영문

  • 시그니처 상하조합 국영문

  • 시그니처 상하조합 한영문

좌우 조합

  • 시그니처 좌우조합 국문

  • 시그니처 좌우조합 영문 풀명칭

  • 시그니처 좌우조합 한문

  • 시그니처 좌우조합 국영문

  • 시그니처 좌우조합 한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