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권지 정보]
(저자) 朴泰遠 (발행처) 博文書館 (발행연도) 1941년(昭和 16年)
[목차]
李光洙, 「序」
川邊風景目錄
第一折 • 淸溪川빨래터
第二折 • 理髮所의少年
第三折 • 시골서온아이
第四折 • 不幸한女人
第五折 • 慶事
第六折 • 沒落
第七折 • 閔主事의憂鬱
第八折 • 選擧와 布木廛主人
第九折 • 多事한 閔主事
第十折 • 四月八日
第十一折 • 가엾은사람들
第十二折 • 少年의 哀愁
第十三折 • 딱한사람들
第十四折 • 虛實
第十五折 • 어느날아침
第十六折 • 彷徨하는處女性
第十七折 • 샘터問答
第十八折 • 저녁에찾아온손님
第十九折 • 어머니
第二十折 • 어느날의 揷話
第二十一折 • 그들의 生活設計
第二十二折 • 終末없는悲劇
第二十三折 • 장마風景
第二十四折 • 昌洙의錦衣還鄕
第二十五折 • 中山帽
第二十六折 • 運한破落戶
第二十七折 • 女給하나꼬
第二十八折 • 비개인날
第二十九折 • 幸福
第三十折 • 꿈
第三十一折 • 戱畵
第三十二折 • 俉拾圓
第三十三折 • 錦順의生活
第三十四折 • 그날의感激
第三十五折 • 그들의日曜日
第三十六折 • 俱樂部의少年少女
第三十七折 • 三人
第三十八折 • 多情한안해
第三十九折 • 貫鐵洞집
第四十折 • 시집살이
第四十一折 • 젊은녀석들
第四十二折 • 姜某의思想
第四十三折 • 凶夢
第四十四折 • 距離
第四十五折 • 閔主事의感傷
第四十六折 • 槿花食堂
第四十七折 • 英伊의悲哀
第四十八折 • 平和
第四十九折 • 孫主事와그의딸
第五十折 • 川邊風景
[내용]
《천변풍경》은 제목 그대로 천변 빨래터에서 빨래꾼들이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바깥 풍경에 결코 권태를 느끼지 않는 이발소 소년 ‘재봉’은 천변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에 관한 여러 가지를 저절로 알게 된다. 한약국에서 일하는 소년, ‘민 주사’, ‘포목전 주인’, 카페 ‘평화’에서 일하는 ‘하나꼬’, 한약국 집 며느리 등 다양한 등장인물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자료의 특성 및 가치]
국립한국문학관 소장 《천변풍경》은 1941년 박문서관에서 발행한 재판본이다. 국립한국문학관은 1938년에 발행된 《천변풍경》의 초판본도 소장하고 있다(문2345). 이광수가 서를 쓰고, 장정은 정현웅(鄭玄雄)이 맡았다.
1930년대 어느 해 2월부터 다음 해 정월까지 청계천 변 주민들의 일상을 묘사하는 50개의 삽화가 이어진다. 당대 문학 평론가 최재서는 모든 장면에서 작자는 종시여일하게 카메라적 존재를 견지한 것으로 규정하고, 《속천변풍경》에서는 사회적 연관의식이 좀 더 긴밀해지기를 바란 바 있다. 다만 박태원 소설의 인물들이 행하는 행복 찾기가 곧잘 좌절되곤 한다는 점을 기억한다면 텍스트 내에 흐르는 애달픈 정조가 누구의 것인지 물을 수 있다. 현실 논리의 작동이 멈춘 것이 아니라 숨겨져 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작가소개]
박태원(朴泰遠, 1909~미상): 1909년 서울에서 출생, 1919년 경성사범부속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26년 《조선문단》에 시 「누님」을, 《동아일보》에 이광수의 연작시 「묵상론」에 대한 평인 「묵상록을 읽고」를 싣는다. 1927년 이광수를 사사하고, 1929년 경성제일고보를 졸업한 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호세이(法政)대학 예과에 입학했으나, 중퇴하고 귀국한다. 1933년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등을 중심으로 결성된 구인회에 결원이 생기자, 이상, 박팔양과 함께 추가로 가입한다. 1934년 《조선중앙일보》에 「소설가구보씨의일일」을 연재하고, 1936년~1937년 《조광》에 「천변풍경」을 연재한다. 1938년~1939년 《조선일보》에 「우맹」을 연재한다.
[참고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5884, 접속일: 2025.9.20.
최재서, 「리아리즘의 확대와 심화―《천변풍경》과 《날개》에 관하야」(三), 《조선일보》, 1936.11.5., 5면.,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naver.com, 접속일: 2025.10.10.
권영민, 《한국 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20.
근대문학100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약전으로 읽는 문학사》 1, 소명출판, 2008.
송하춘 편저, 《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한국근대문학관, 《단숨에 읽는 한국 근대문학사》, 한겨레출판, 2016.
[해제자]
이은선(경상국립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