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현대문학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濁流(탁류)

  • 자료번호

    문4489
  • 저자명

    채만식(蔡萬植, 1902~1950)
  • 발행년도

    1939년
  • 크기(cm)

    세로19.5cm, 가로13.8cm
  • 개요

    국립한국문학관 소장 《탁류》는 1939년 박문서관에서 발행한 초판본이다. 《탁류》 초판본은 현재 유일본으로 국립한국문학관만 소장하고 있다. 장정은 정현웅(鄭玄雄)이 맡았다. 채만식은 《탁류》에서 일본이 한국의 미곡을 교묘히 수탈하고 있음을 고발하고 있다. 아버지 ‘정 주사’가 미두로 재산을 다 날려버린 탓에 ‘초봉’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원하지 않는 결혼을 하게 된다. 《탁류》는 ‘초봉’의 계속되는 수난을 기록하고 있다. 아버지와 남편 사이의 거래에 가까운 혼인, ‘장형보’의 폭력과 ‘박제호’의 무책임함 등은 당대 사회 전체의 타락을 보여주는 예시로 기능한다. 1930년대의 중요한 작품으로 손꼽히는 이유 역시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초봉’의 비극성이 일관되게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 키워드

    채만식, 탁류, 정현웅, 박문서관, 미두

[판권지 정보]

(저자) 蔡萬植 (발행처) 博文書館 (발행연도) 1939(昭和 14)


[목차]

人間記念物-生活第一課-新版 興甫傳-《……生涯方眼紙!-아씨 行狀記-조그마한事業-千兩萬兩-외나무다리에서-杏花-颱風-待避線-만만한姓名-흘렸던 씨앗-슬픈 曲藝師-食慾方法論-彈力있는 아침-老童 訓戀日記-內菩薩, 外夜叉-序曲


[내용]

탁류는 황해로 흘러가는 강과 항구 군산에 대한 묘사로 시작한다. ‘정 주사의 딸 초봉은 아버지와 교분이 있는 박제호의 양약국 제중당에서 일한다. 은행원 고태수정 주사에게 장사 밑천으로 돈을 대준 후 초봉과 약혼한다. ‘장형보는 이 혼인에 훼방을 놓기 위해 초봉을 성폭행한다. 남편이 죽은 뒤 초봉박제호와 서울에서 살림을 시작하고 송희를 낳는다. ‘장형보가 찾아와 송희가 자기 자식이라고 주장하자, ‘박제호초봉과의 관계를 끊기로 결심한다. ‘장형보와 함께 살게 된 초봉은 그가 송희를 괴롭히는 것을 보고 그를 살해한다.


[기타]

문학사상의 탁류목차에는 興甫傳대신 흥부전으로, ‘內菩薩, 外夜叉대신 외보살 내야차로 표기하고 있다.

채만식전집 2에는 內菩薩 外夜叉로 표기되어 있다.


[자료의 특성 및 가치]

국립한국문학관 소장 탁류1939년 박문서관에서 발행한 초판본이다. 목차 뒤 裝幀 鄭玄雄이 발견된다. 판권지에 昭和 十四年”, “發行”, “저자 蔡萬植”, “不許複製”, “禁無斷脚色上演撮影이 표기되어 있다.

채만식은 탁류에서 일본이 한국의 미곡을 교묘히 수탈하고 있음을 고발하고 있다. 아버지 정 주사가 미두로 재산을 다 날려버린 탓에 초봉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원하지 않는 결혼을 하게 된다. 탁류초봉의 계속되는 수난을 기록하고 있다. 아버지와 남편 사이의 거래에 가까운 혼인, ‘장형보의 폭력과 박제호의 무책임함 등은 당대 사회 전체의 타락을 보여주는 예시로 기능한다. 1930년대의 중요한 작품으로 손꼽히는 이유 역시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초봉의 비극성이 일관되게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작가소개]

채만식(蔡萬植, 1902~1950): 1902년 전북 임피에서 출생하였다. 1918년 상경하여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 1922년 졸업한 후 와세다대학 부속 제일와세다고등학원 문과에 입학한다. 1923년 본과 영문과에 입학하지만 가세가 기울어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한다. 1924년 이광수 추천으로 세길로를 발표하고, 이후 동아일보사에서 근무한다. 1933조선일보에 장편 인형의 집을 나와서를 연재하고, 1934년 단편 레디메이드 인생을 발표한다. 1937년부터 1938년까지 조선일보탁류를 연재하고, 1938치숙을 발표하고, 1939년 박문서관에서 탁류를 출간한다.


[참고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8730, 접속일: 2025.9.20.

권영민, 한국 현대문학사1, 민음사, 2020.

근대문학100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약전으로 읽는 문학사1, 소명출판, 2008.

김윤식김우종 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22.


[해제자]

이은선(경상국립대학교)


공공누리마크
제 4유형 :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