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현대문학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無影塔(무영탑)

  • 자료번호

    문4439
  • 저자명

    현진건(玄鎭健, 1900~1943)
  • 발행년도

    1941년
  • 크기(cm)

    세로18.5cm, 가로12.6cm
  • 개요

    국립한국문학관 소장 《무영탑》은 1941년 박문서관에서 발행한 재판본이다. 1938년부터 1939년까지 《동아일보》에 연재한 작품이며, 1939년 박문서관에서 초판을 간행했다. 경주 불국사에서 석가탑을 만들던 석공 ‘아사달’과 아내 ‘아사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신라 귀족의 딸인 ‘주만’을 거절하고, 부여에 두고 온 아내 ‘아사녀’와의 약속을 지키려는 ‘아사달’의 고뇌가 드러난다. 역사소설이 대체로 왕조나 귀족의 몰락 등을 다루었던 것과 달리 이 작품은 장인의 예술에 대한 집념, 신앙심 등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역사소설과 구별된다.
  • 키워드

    현진건, 무영탑, 역사소설, 아사달, 아사녀

[판권지 정보]

(저자) 玄鎭健 (발행처) 博文書館 (발행연도) 1941(昭和 16)


[내용]

신라 경덕왕 시절, 석가탑과 다보탑을 만들기 위해 왕은 부여의 유명한 석수 부석의 제자인 아사달을 부른다. 그는 아내 아사녀를 떠난 지 삼 년이 넘어가자 끼니를 잊고 몰두하던 중 까무러친다. 그는 주만의 도움으로 회복하지만, ‘주만의 마음을 거절한다. 한편 아버지 부석의 죽음 이후 위험에 처한 아사녀아사달을 찾아가지만 만나지 못한다. ‘아사달은 석가탑을 완성하지만, ‘아사녀는 그 사실을 모르고 물에 빠져 죽는다. ‘아사달주만아사녀두 여인의 형상을 새긴 후 물에 빠진다.


[기타]

한국현대문학관에서 초판본을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 판권지에는 昭和 十六年”, “再版 印刷 發行이라는 표기가 없다. 이를 기준으로 판단하면 국립한국문학관 소장본 무영탑은 재판본이다.


[자료의 특성 및 가치]

국립한국문학관 소장 무영탑1941년 박문서관에서 발행한 재판본이다. 표지 장정은 홍우백이 맡았고 석가탑을 그렸다. 겉표지에는 현진건으로, 속표지에는 빙허 현진건(憑虛 玄鎭建)으로 표기되어 있다. 판권지에는 소화 16년 재판으로 표기하고, 초판 출간연도를 명기하고 있다. 저자는 현진건, 발행자는 노익형, 발행소는 박문서관이다.

1938년부터 1939년까지 동아일보에 연재한 작품이며, 1939년 박문서관에서 초판을 간행했다. 1930년대 후반 중일전쟁 이후 역사소설이 유행하였다. 무영탑은 경주 불국사에서 석가탑을 만들던 석공 아사달과 아내 아사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신라 귀족의 딸인 주만을 거절하고, 부여에 두고 온 아내 아사녀와의 약속을 지키려는 아사달의 고뇌가 드러난다. 역사소설이 대체로 왕조나 귀족의 몰락 등을 다루었던 것과 달리 이 작품은 장인의 예술에 대한 집념, 신앙심 등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역사소설과 구별된다. ‘아사달이라는 평민을 역사 창조의 주체로 내세워 민중을 주체로 하는 역사의식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작가소개]

현진건(玄鎭健, 1900~1943): 1900년 경상북도 대구에서 태어났다. 1908년 부친 현경운이 설립한 대구노동학교에서 신학문을 익힌다. 1918년 상해 호강(滬江)대학에 입학한다. 1920개벽희생화를 발표하고, 1921백조동인으로 가담, 빈처, 술 권하는 사회를 발표한다. 1922년 첫 창작집 타락자를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발간하고, 중편 타락자를 연재한다. 1923년 최남선이 주재하는 잡지 동명에 편집진으로 참여하고 시대일보사에 입사한다. 1924년 단편 까막잡기, 그립은 흘긴 눈, 운수 좋은 날, 을 발표한다. 1926조선의 얼굴을 간행한다. 1936년 동아일보사 사회부장 재직 중 손기정 선수 사진의 일장기 말살사건으로 피검되어 1년 선고를 받고 복역하였다. 1938년부터 1939년까지 동아일보무영탑을 연재하고, 1939년 박문서관에서 초판 무영탑을 간행한다.


[참고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163, 접속일: 2025.9.18.

권영민, 한국 현대문학사1, 민음사, 2020.

근대문학100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약전으로 읽는 문학사1, 소명출판, 2008.

송하춘 편저, 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한국근대문학관근대서지학회, 100편의 소설, 100편의 마음, 소명출판, 2022.

한원영, 한국신문연재소설의 사적 연구1, 푸른사상, 2010.


[해제자]

이은선(경상국립대학교)


공공누리마크
제 4유형 :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글 大河(대하)

이전글 紅熖(홍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