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현대문학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product image

白鹿潭(백록담)

  • 자료번호

    문6532
  • 저자명

    정지용(鄭芝溶, 1902~1950) 저
  • 발행년도

    1941년
  • 크기(cm)

    세로19.0cm, 가로12.8cm
  • 개요

    「백록담」, 「비」, 「인동차」 등 총 33편의 시가 수록된 정지용의 두 번째 시집이다. 1941년 문장사에서 초판 간행, 1946년 백양당에서 재판 간행, 1950년 동명출판사에서 3판 간행되었다. 국립한국문학관 소장본은 초판에 해당한다. 정지용의 첫 시집 《정지용시집》에 비해 한국의 자연과 전통 관련 소재가 두드러지고, 감정을 절제한 언어의 균제미가 절정에 이른 시집으로 평가된다.
  • 키워드

    정지용, 장수산, 백록담, 문장파, 반근대주의, 조선주의

[판권지 정보]

(저자) 정지용 (발행처) 문장사 (발행연도) 1941(昭和 16)


[목차]

(長壽山1/長壽山2/白鹿潭/毘盧峯/九城洞/玉流洞/朝餐//忍冬茶/붉은손/꽃과벗/瀑布/溫井/삽사리/나븨/진달래/호랑나븨/禮裝)
(船醉/流線哀傷)
(春雪/小曲)
(파라솔//슬픈偶像)
(耳目口鼻/禮讓//아스ᅋᅡᆯ트/老人과ᄁᆃᆾ/꾀꼬리와菊花/비들기/肉體)


[내용]

5부로 나누어 33편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정지용이 펴낸 두 번째 시집으로 장수산연작, 백록담, , 인동차, 유선애상등 대표작이 수록되어 있다.


[자료의 특성 및 가치]

1941년 문장사에서 초판 간행된 이후, 1946년 백양당에서 재판, 1950년 동명출판사에서 3판이 간행되었다. 초판과 3판은 장정이 동일하고, 재판은 장정을 달리하여 특제판과 보급판 두 종류로 발간되었다. 국립한국문학관 소장본은 초판에 해당한다. 장정은 길진섭이 맡은 것으로, 나무, 나비, 사슴이 그려진 그림 위에 붉은색 제자를 배치하였다.

백록담은 정지용이 펴낸 두 권의 시집 중 두 번째 책으로, 장수산연작, 백록담, , 인동차등 정지용의 대표작을 수록하고 있어 문학사적 가치가 높다. 첫 시집이었던 정지용시집과 비교했을 때, 한국의 자연과 전통 관련 소재가 두드러지고 감정을 절제한 언어의 균제미가 절정에 이르렀다고 평가된다. 1930년대 후반 정지용은 잡지 문장을 중심으로 한 문장파로 활동하면서 반근대주의와 조선주의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발표했는데, 백록담은 이들을 모아 펴낸 것으로, 당시 정지용의 시적 경향을 응축하고 있다. 특히 을 소재로 한 장수산연작, 백록담과 같은 시편들은 산 정상의 높이와 산속의 고요함을 통해서 어두운 현실에 동요하지 않는 정신적 성숙함과 내면의 화평함을 선명하고도 섬세하게 표현해냈다고 평가된다.


[작가소개]

정지용(鄭芝溶, 1902~1950): 세례명 프란시스코[方濟角], 창씨명 오유미 오사무[大弓修]. 충청북도 옥천에서 출생하여 휘문고등보통학교 및 일본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휘문고보 재학 시절 문우회에 들어가 교지 휘문창간호의 편집위원을 맡았고, 도시샤대학 시절 학내 동인지 및 여러 문예지에 시 작품을 본격적으로 발표했다. 귀국 후 모교인 휘문고보에서 교사로 재직하였고, 1930시문학동인, 1933가톨릭청년편집 및 구인회결성, 1936구인회동인지 시와 소설창간호 참여, 1939년 잡지 문장참여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광복 후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 경향신문주간 등을 역임했다. 1950년 한국전쟁 중 정치보위부에 나가 자수 형식을 밟다가 붙잡혀 납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8년 남한에서 정지용 작품이 공식 해금된 이후, 그해 4지용회결성, ‘지용제지용문학상제정이 이루어졌다. 저서로 시집 정지용시집(1935), 백록담(1941) 등과 산문집 문학독본(1948), 산문(1949) 등이 있다. 초기작에서의 절제된 언어와 감각적 이미지, 이후 작품에서의 반근대적정신주의적 시세계를 통해 한국문학사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참고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립중앙도서관 근대문학정보센터, 한국 근대문학 해제집 1: 단행본, 국립중앙도서관, 201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오영식엄동섭 편, 한국근현대시집 100: 오뇌의 무도에서 입 속의 검은 잎까지, 소명출판, 2021.

김학동 편, 정지용,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9.

최동호 편, 정지용 전집 1: , 서정시학, 2015.


[해제자]

이은지(서울대학교)


공공누리마크
제 4유형 :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